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다미주신경이론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자율신경실조-우울, 호흡곤란, 틱, adhd, 공황장애. 소화불량, 긴장성두통, 다발성 경화증...
생물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신경계의 발달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기존의 교감, 부교감의 대립적인 체계가 아니라 세가지 경로로 구성된 위계적 시스템 작용에 해당하며, 새로 생겨난 미주신경이 이전의 신경회로를 조절하고 억제하는 반응이 나타난다는 이론입니다.
1. 등쪽 미주신경 복합체
등쪽 미주신경 복합체는 생물진화의 초기에 나타난 원시적인 경로에 해당하며 주로 파충류에서 볼수 있습니다. 일종의 ‘얼어붙기’ 반응으로 위협을 느끼면 즉각적으로 심박수와 호흡을 멈추고 신진대사를 낮춰서 모든 행동을 멈추는 반응으로 고생대, 중생대를 거치면서 다세포 생물의 대폭발로 인해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에서 나타나는 행동 양상을 말합니다.
2. 교감신경계의 진화
중생대 공룡의 틈바구니에서 피식자로 살아가던 포유류에서 발달한 신경계에 해당하며, 주로 땅속이나 동굴에서 야행성으로 살아가던 포유류가 청각과 시각 신경을 발달시켜 나는 과정이 나타나게 됩니다. 외부에서 시각과 청각적인 위협을 느끼는 순간 “fight or flight”(투쟁 또는 도피)의 반응으로 자극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게 됩니다. 이런 교감 신경계의 반응으로 심장의 수축을 강화하고, 폐에서 호흡량을 늘이며, 간에서 글루카곤의 분해를 촉진하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집중적으로 할수 있게 도와 주는 반응들이 대부분입니다.
3. 복부 미주 신경 복합체
신생대 이후 포유류가 집단생활을 하면서 서로간의 관계와 문화, 사회적인 소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복부 미주신경 복합체가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놀이와 음악, 노래 등과 같은 예술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동종에게 안전한 신호를 보내는 목소리. 얼굴 표정 등을 통해 상호 접근하고 공유하며, 긴 날숨을 통해 사람들 사이의 긴장을 완화하고 안전하고 느끼기 시작합니다.
4. 미주신경의 발달과정
어류, 양서류, 파충류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등쪽 미주신경 복합체는 주로 얼어붙기 반응으로 나타나고 파충류에서 포유류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생존에 직결된 다양한 반응, 자극들에 대처하면서 “투쟁 또는 도피”의 에너지를 집중적으로 많이 쓰게 하게는 반응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포유류가 지구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집단생활, 자손의 번식과 사냥, 육아등을 하면서 사회 문화적인 안정과 평온함이 배쪽 미주신경 복합체를 발달시켰습니다.
결국 인간의 감정과 관계. 사회 문화적 교류속에서 미주신경이 최종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수 있는 신경성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증후군. 긴장성 두통, 어지러움, 이명, 돌발성 난청, 시력저하, 답답함. 호흡곤란. 공황장애. 우울증, 아이들에게 잘 보이는 틱증상, ADHD, 야뇨, 야제, 수족다한증 등 극심한 스트레스와 체력적인 부담에서 발생하는 자율신경계의 기능 실조로 나타나는 것까지 미주 신경의 균형이 무너졌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자율신경계는 안전함을 느낄 때 비로소 균형을
찾고, 신체와 정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미주 이론은 인간이 평생 동안
안전함을 추구하는 과정이 자율신경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과정이 인간의 건강, 성장, 회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한의학의 치료 원리와 유사한 부분이 굉장히 많습니다. 이를 응용해 한의학적 치료로 상기 질환을 접근 치료할 수 있습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의학이야기 > Med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이진복한의원 무릎 통증의 모든 것 (0) | 2025.03.31 |
---|---|
전주 이진복한의원 방아쇠수지(손가락) (0) | 2025.03.17 |
전주 이진복한의원 과민성장증후군에 대하여.. (0) | 2025.03.03 |
전주 이진복한의원 급성 편도선염 (0) | 2025.02.17 |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명 (0) | 2025.02.03 |
댓글